교육실습 시즌이 돌아왔지만 대부분의 교육실습생(이하 교생)들은 출신대학이 기재된 명찰을 패용한 채 실습을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나 인권침해 논란이 제기됐다.

이 명찰은 각 대학에서 제작한 것으로 실습하는 동안 현장에서 일상적으로 패용한다. 2일 학벌 없는 사회를 위한 시민모임(이하 학벌 없는 사회)에 따르면 “대학에서는 모교의 명예를 훼손하지 않도록 책임감 있게 행동하라는 의미가 담겨 있다고 강조하지만 역기능도 만만치 않다”고 지적했다.

본인 의지와 상관없이 출신 대학, 사범대, 비사범대 여부 등이 드러날 수 있고 교육적 진심이나 역량으로 학교 구성원들과 만나기도 전 학벌에 대한 사회적 편견에 의해 재단될 위험이 크기 때문이다. 학벌없는 사회는 “이는 결과적으로 능력과 상관없이 출신 대학에 따라 구분하고 배제하는 시선에 노출돼 학벌주의를 부추길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다.

실제 설레는 마음으로 교생을 맞이하는 학생들도 ‘다 같은 교생 선생님인데 굳이 대학명을 표기해 구분하는 것에 불편함을 느낀다’, ‘선생님을 교육으로 만나도 전에 고정관념이 작용할 여지가 많아 비교육적이다’라는 의사를 피력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학벌 없는 사회는 “초·중·고등학교 교육실습 시 교생에게 출신대학·학과가 기재된 명찰을 패용하도록 강제하는 실태를 시정하도록 교육부 및 시·도교육감에게 권고하라는 내용의 국가인권위원회 진정서를 제출했다”고 밝혔다.

학벌 없는 사회는 이번 진정을 통해 “한 사람의 가능성을 판단하는데 출신학교와 학과는 하나의 참고자료일 뿐이며 출신학교 등을 이유로 한 차별은 그 사람이 가진 다양한 가능성을 검증받을 기회마저 차단한다는 것”이라며 “학력이나 학벌주의를 조성하는 교생의 명찰 문화 관행이 사라지길 기대한다”라고 덧붙였다.

교육실습이란 교사 양성기관에 재학하거나 대학에서 교직 과정을 이수하는 학생들이 일정한 기간 동안 교육현장인 학교의 실무를 체험함으로써 실무능력을 실제로 배우는 과정으로 보통 4주 간(1회) 초·중·고교에서 실시하고 있다.

저작권자 © 한국시민기자협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