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신영 작가 차 이야기
일본의 다성(茶聖) 센노 리큐(千 利休)

자르끄르 요리연구소 강신영 대표
자르끄르 요리연구소 강신영 대표

일본을 여행하다보면 차분한 분위기 속에서 차를 음미하는 모습을 곳곳에서 볼수 있는데 이처럼 일본의 다도는 일본인의 일상생활 속에 깊이 스며들어 있는 대표적인 전통문화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일본에 대륙의 차가 전래된 시기는 '나라시대'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앞서 일본의 차문화는 당나라에 유학한 승려가 차를 갖고 돌아와 사찰에서부터 시작해 점차 '귀족'과 '무사계급'으로 확산되면서 '다도'가 정립되었다고 설명했습니다.

일본의 차문화는 초기에는 천황이 거주하는 교토조정의 귀족이나 지방 권세가들의 권력과시 수단으로 이용되었는데 이들은 중국의 다기를 감상하며 차를 즐겼으며 손님을 대접하는 차도 중요했지만 이에 못지않게 중요시 한 것은 다구(茶具)였습니다.

이에 따라 귀족들의 사교모임은 화려하고 사치스러운 중국 다구를 자랑하는 자리로 변질되어 버렸습니다.

당시 사치스럽고 귀족위주였던 다도문화를 소박하고 서민들도 즐길수 있도록 만든 것은 센노 리큐란 인물인데 그는 어린 시절부터 다도에 깊은 관심을 가져 자신만의 독특한 다도를 완성시켜 일본 다도(茶道)의 새로운 흐름을 이끌어 낸 것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특히 그는 일본 다도만의 독창성으로 일컬어지는 ‘와비차(佗び茶)’를 완성시킨 인물로서 오다 노부나가, 도요토미 히데요시 등 당시 최고 권력자들의 신임을 바탕으로 두터운 지원을 받았고, 오다 사후에는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차 스승으로 문화권력의 1인자 지위를 누리기도 했으나 도요토미 수하들의 집중견제를 받은데 이어 결국 도요토미의 분노를 사게되어 할복 자결로 생을 마감하는 비극을 맞이했습니다.

센노 리큐가 일본의 다성으로 추앙받을 정도의 지위를 확립할 수 있었던 데에는 당시의 시대적 배경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무로마치시대(室町時代)에 차노유(茶の湯)로 지칭된 일본 다도분야에서는 서로 대칭되는 현상이 유행하고 있었습니다.

강신영 대표
강신영 대표

 

무사와 귀족들 사이에서는 중국에서 유입된 호화롭고 사치스러운 찻잔을 사용하며 권력을 과시하는 것이 한쪽의 흐름이었고, 또 한편으로는 무로마치시대 중반 이후에 시작된 간소하고 정갈한 도구를 이용해서 즐기는 부류인데, 후자는 사치스러움을 배제하고 불완전한 것을 즐기고 받아들인다는 다도사상으로 무라타 주코(村田 珠光)로부터 시작되었습니다.

일본 다도의 시조로 불리는 무라타 주코는 차선일미(茶禪一味)의 경지를 주장하였고 꽉찬 보름달의 화려함 뒤에 엄습해오는 허무함보다는 구름 뒤에 살포시 숨은 달이 아름답다고 노래하기도 했는데 이는 와비(佗び)의 미적 감각을 잘 표현해 준 대목입니다.

이러한 시대적 배경을 거쳐 15세기 후반들어 일본의 차(茶)문화는 표면적으로 드러나는 사치와 호화로움 보다는 내면적‧정신적 미학의 세계를 구현하는데 중심을 두기 시작했는데 대표적인 것이 와비차(佗び茶)사상입니다.

와비(佗び)란 단어는 일본어 와비사비(わびさび(侘・寂))에서 유래한 것으로 일본의 문화적 전통적 미의식의 하나로서 세속적인 세계에서 벗어나 투박하고 조용한 상태를 가리키는 것입니다.

즉 일상에서 은퇴하여 간소한 생활중에 인생의 참된 맛을 느끼고 향유하는 안정된 심경을 일컫는 것입니다.

이를 테면 화려하고 요란한 것을 배제하고, 불필요한 것을 없애고, 간소하고 세련된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삶을 의미합니다.

와비차라는 독창적인 방식의 다도를 완성시킨 인물이 센노 리큐(千利休)입니다. 에도시대에 들어서는 와비가 다도의 기본 정신으로 뿌리를 내렸고, 무라타 주코를 거쳐 센노 리큐가 완성한 이 흐름을 와비차 라고 부르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와비차는 다회(多會)에서 어떠한 모습으로 나타났는 지를 살펴보겠습니다.

다회의 전반은 카이세키(懷石) 식사 위주로 이루어지는데 카이세키는 수행 중인 승려가 따뜻한 돌을 헝겊에 싸서, 배에 품고 신체를 따뜻하게 하고 배고픔을 달랬다는 것이 어원입니다.

즉 카이세키는 신체를 데우는 정도의 가벼운 요리라는 의미로 다회 식사를 가이세키라고 하며 나중에 마실 진한 차의 자극을 부드럽게 하고 차의 깊은 맛을 음미하기 위해 공복시에 미리 먹어두는 가벼운 식사를 지칭하는 것입니다.

카이세키요리의 기본은 밥과 한가지 종류의 국물과 반찬 두가지를 더한 전통적인 일식으로 구성되는데 센노 리큐는 다회에 화려한 식사를 내는 것을 지적하며, 쌀밥과 국, 3품의 찬을 올리는 1즙 3채(一汁三菜) 식단이 바람직하다고 강조했고 이후에는 센노 리큐의 가르침대로 1즙 3채가 정형화되었습니다.

식사가 끝나면 손님들은 다실을 나와 정원에서 휴식을 취하고 주인은 뒷정리를 한후 분위기를 바꾸어 차를 대접할 공간을 준비합니다.

다회의 후반부에 들어가면 처음에는 진한 차를 만들어 같은 찻잔을 순서대로 돌아가면서 음미하게 되며 마지막에 말차를 데운 물에 조금 넣고 섞은 연한 차(우스차, 薄茶)를 마시는 것으로 종료됩니다.

이와 같이 14-15세기 귀족사회에서 유행했던 화려하고 사치스러움으로 치장된 다회를 간소화하고, 처음에 마시는 의례적 음주와 마지막의 주연을 과감히 없애버린 것이 센노 리큐의 다회형식이라 할 것입니다.

다음에는 센노 리큐의 생애와 죽음에 얽힌 이야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저작권자 © 한국시민기자협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