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 골목상권 활성화 총력…골목형 상점가 전국 최다 480곳

두 달 새 2배 늘어…전국의 44% 차지…서울·경기지역보다 3.5배 많아 소비 촉진·매출 증대 기대…시, 상생 카드·온누리 상품권·공공 배달 앱 지원 강화

2025-09-15     기범석 기자

[한국시민기자협회=기범석 기자] 광주시가 침체한 골목상권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해 ‘골목형 상점가’ 지정을 확대하고 다양한 지원책을 추진하고 있다. 이는 정부와 지자체 지원 사업에 참여할 수 있는 기반을 넓혀 소상공인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주려는 것.

강기정 광주광역시장이 지난 7월 23일 오전 서구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열린 '7+2 민생회복 지원 정책보고회'에 참석해 시, 자치구, 유관기관 등 참석자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이날 보고회에서는 광주시와 자치구, 관계 기관 등 12개 기관·단체가 ‘7+2 소상공인 지원 패키지’의 성공 추진을 위한 ‘골목형 상점가 광주전역 확대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사진 제공 : 광주광역시)

광주광역시(시장 강기정)는 9월 현재 골목형 상점가로 총 480곳을 지정, 전국 최다 규모를 기록했다. 이는 전국 1,083곳의 44%를 차지하고 있으며 수도권 전체 상점가 312곳(서울 137, 경기 135, 인천 40)보다 많은 수치로, 광주시의 골목 경제 활성화에 대한 강한 의지를 보여주고 있다.

광주시는 앞서 지난 7월 5개 자치구‧관계 기관 등 12개 기관·단체와 ‘골목형 상점가 광주 전역 확대 업무협약(MOU)’을 맺고 상점가 확대를 추진했다. 이후 두 달 만에 261곳을 새로 지정하는 성과를 거뒀다.

광주시는 골목형 상점가 확대 지원을 위해 각 자치구에 현장 지원단을 5~10명씩 배치했다. 이들은 상인들을 직접 찾아가 ‘골목형 상점가’ 지정 신청부터 온누리상품권 가맹 등록까지 밀착 지원했다.

‘전통시장 및 상점가 육성을 위한 특별법’에 따라 골목형 상점가로 지정되면 온누리상품권 가맹 등록이 가능하고, 정부와 지자체에서 운영하는 각종 지원사업에 참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소비자들의 구매 부담이 경감되고, 소상공인의 매출 증대와 지역경제 활성화에 이바지하는 효과가 기대된다.

골목형 상점가 확대에 따라 전통시장, 상점가 등에서 사용할 수 있는 온누리상품권 가맹점도 급증하고 있다. 9월 현재 광주 지역 온누리상품권 가맹점은 2만 1,798곳으로, 두 달 새 67%(6월 말 1만 3,025곳) 늘어났다.

온누리상품권은 10% 선할인뿐만 아니라 환급행사로 10%, 특별재난지역인 북구와 광산구 어룡동·삼도동은 추가 10%를 환급받는 등 골목상권 활성화에 크게 이바지하고 있다.

여기에 광주시는 11월부터 광주에 있는 가맹점에서 온누리상품권으로 결제하면 소비액의 5%를 환급해 주는 자체 환급 행사를 시작할 계획이다.

골목상권의 경쟁력을 높이고 매출 증가 등을 유인하기 위한 다양한 소비 활성화 지원책도 강화됐다.

이달부터 광주상생카드 할인율이 기존 7%에서 13%로 확대 적용되면서 개인당 월 최대 6만 5,000원까지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다. 특히 특별재난지역으로 지정된 북구 전역과 광산구 어룡동, 삼도동에서는 5%의 추가 캐시백이 제공된다.

또 공공 배달 앱 할인 쿠폰도 대폭 확대했다. 기존 주말과 명절 등에 지급하던 할인 금액에 1,000원을 추가 지원해 소비자의 체감 혜택을 높여 음식점 업종의 매출 회복을 돕는다.

소상공인들의 자금난 해소를 위한 금융지원도 확대됐다. 광주시는 올해 소상공인을 위한 특례 보증을 총 1,700억 원 규모로 편성해 시행 중이다. 업체당 최대 5,000만 원까지 대출이 가능하며, 1년간 3~4%의 이자를 지원한다.

여기에 광주시와 공공기관은 골목상권과의 1대 1 매칭을 통해 직접적인 소비 촉진에도 나서고 있다. 각 실‧국과 공공기관이 지정된 골목상권의 식당을 월 2회 이상 이용하거나 장보기 등을 실천하며, 일회성 이벤트가 아닌 일상적인 소비문화로 정착시키려는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

주재희 경제창업국장은 “골목상권은 시민 삶과 직결된 민생 현장”이라며 “소상공인이 체감할 수 있는 현장 중심의 정책으로 골목 경제에 따뜻한 온기를 불어넣겠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