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세편 #1. 정치의 근본적 의의(왕필통행본 제 3장)

 

原文)

不尙賢, 使民不爭. 不貴難得之貨, 使民不爲盜, 不見可欲, 使民心不亂.

是以聖人之治, 虛其心, 實其腹, 弱其志, 強其骨, 常使民無知無欲.

使夫知者, 不敢爲也, 爲無爲, 則無不治.

 

直譯)

不尙賢(불상현)

현명하다는 것을 숭상하지 않음으로,

使民不爭(사민부쟁)

국민들로 하여금 더 잘났다고 다투지 않게 할 수 있다.

不貴難得之貨(불귀난득지화)

얻기 어려운 재화를 귀히 만들지 않음으로써,

使民不爲盜(사민불위도)

민중들이 도적질 할 마음을 갖지 않도록 할 수 있고,

不見可欲(불현가욕)

욕심 낼만한 것을 보이게 하지 않으면,

使民心不亂(사민심불란)

백성들이 마음을 어지럽히지 않을 수 있다.

是以 聖人之治(시이 성인지치)

이런 까닭이기에 깨달은 사람의 다스림이란,

虛其心 實其腹(허기심 실기복)

백성들이 마음을 비우게 하고 배를 채우도록 해준다.

弱其志 强其骨(약기지 강기골)

백성들의 의지는 부드럽게 만들고 몸은 튼튼하게 만들도록 하며,

常使民無知無欲(상사민무지무욕)

언제나 백성들이 알려고도 욕심내지도 않도록 만들어야 하는 것이다.

使夫知者 不敢爲也(사부지자 불감위야)

무릇 뭣을 안다고 하는 자들로 하여금 무언가를 하지 못하도록 해야만 한다.

爲無爲 則無不治(위무위 즉무불치)

함이 없음을 행하면 다스려지지 않는 것은 없다.

 

解說)

이 3장에서는 정치의 근본적 의의(意義)에 대한 언급으로 다스리는 사람의 입장에서 무위지위(無爲之爲)를 어떻게 실천하는가에 대한 원리(原理)를 언급하고 있다.

무위지위는 함이 없는 함을 의미하므로 위함 없이 티 나지 않게 하는 것이며, 다스림에 있어 무위를 실천하면 다스리지 못할 것이 없다는 것이다.

스스로 만족하는 삶을 살기 위해서는 삶의 우선순위를 조정해야 한다,

욕망에만 집착하면 외적인 요인이 우리를 지배하게 되고 돈이나 권력, 명예만을 쫒는 등 도(道)를 향한 눈은 가려지고 만족으로부터는 멀어지게 된다.

이 장(章)에서는 우리에게 과감히 자신의 명예, 돈 등 논쟁을 야기 시키는 요인들에 대하여 버리라고 말한다.

물론 쉽지 않은 결정이고 인간이라면 자신의 욕구를 충족시키고 싶은 본능이 있기 때문에 어렵겠지만 노자는 늘 말하듯 모든 것을 내려놓고 물처럼 살아가는 것이 결국 자기 자신을 위하는 길이라고 주장한다.

대신 도(道)를 내면에 존재하게 하여, 도의 조화로움을 믿고, 원하는 것의 목록을 만들어서 도에게 넘겨주고 그리고 그냥 믿으며 그와 동시에 도의 인내에 귀를 기울이고 살펴보라고 말한다.

영원한 도(道)가 자신을 통해 작용하도록 내버려 두면 그것으로 만족할 것이다.

백성들로 하여금 알아야 할 것도 욕심 낼 것도 없게 한다고 했는데, 성인이 무위지위를 실천하면 정말 그리 되겠는가?

백성들이 알려하고 욕심을 내는 이유는 미래에 대한 불안감 때문이며 그것을 찾아서 미리 대비하기 위함이다.

그래서 무위지위의 다스림은 백성들의 현재의 평안을 보장하고, 미래에 대한 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는 다스림이어야 한다.

이 문장에서는 도와 덕의 실체와 실천 외에 이러한 다스림의 방법을 다루고 있다.

즉, 무위의 정치는 위함 없이 티 나지 않는 다스림이지만 그 목표는 세상과 백성들을 평안케 하는 것이다.

그래서 마지막 행에서 주장하듯 무위지위를 실천하면 다스리지 못할 것이 없게 된다고 언급하고 있다.

지(智) 또는 지혜(智慧)로 표기되는 지혜라는 글자가 이 3장 이후부터는 자주 나온다.

왕필의 지혜에 대한 주석을 보면 꾀를 써서 구하고 이루며 수를 써서 감춰진 것을 찾아내는 것이라고 했다.

학문을 했다는 능력 있는 자들이 지혜를 쓰며 백성들의 평안을 짓밟았던 것이 당시의 시대 상황이었다.

이 3장은 그동안 가장 논란이 많았던 내용 중의 하나이다.

훌륭한 학자들을 존경하지 말며, 백성을 무식하고 욕심이 없도록 만들어 통치해야한다는 말은 현대인의 관점에서는 이해가 힘들 것이다.

백성이 무식하고 욕심이 없어야 고생을 해도 고생으로 느끼지 않을 뿐만 아니라 군주가 횡포를 부려도 불만이 안 생긴다는 이러한 논리는 법가의 한비자(韓非子)와 이사(李斯)가 내세우는 논리이지 노자의 사상과는 거리가 있는 내용이다.

이 3장은 호북성 곽점촌의 BC 4세기경 초나라시대의 무덤에서 출토된 죽간본에는 나오지 않는 문장이이기에 노자가 직접 쓴 글이 아닐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본다.

 

餘說)

노자가 2,600여년 전에 살았던 인물인 만큼 지금의 세대와는 그 당시 춘추전국이라는 시대상황과 가치관에 있어서도 다른 점이 있으니 인간이 살아가는 규범 등을 적시해 놓은 인류론과 다스림과 전쟁에 대한 그의 견해를 피력해 놓은 치세론에 대한 부분에서는 지금의 관점에서 판단하고 이해하는 기준이라면 주의 깊은 고려가 반드시 따라야 할 것이다.

노자의 저서(著書)가 잘 읽히지 않는 이유를 들라고 한다면 필자는 이 3장을 서슴없이 들 것이다.

이러한 우민정책(愚民政策)은 춘추전국의 그 시대에는 쓸모가 있었는지는 모르겠지만, 통치자를 선거에 의해 우리 국민들 중에서 가려내는 현대(現代)에는 맞지 않은 정책이라고 아니 할 수 없다.

다만, 이 장의 마지막 문구인 『뭘 좀 안다는 자들로 하여금 멋대로 일을 벌리지 못하게 하라.

차라리 아무것도 하지 않는 편이 다스리지 못할 것이 없는 것이 되기도 한다』는 말은 오늘날에 적용을 하더라도 과할 것은 없다고 본다.

 

* 금서본은 尙이 아닌 上을 사용하고 있다.

尙은 숭상하다, 높이다의 뜻이다.

즉 不尙賢이나 不上賢은 현명함을 숭상하지 말라는 의미에서의 차이는 없다.

<활기 정신건강증진연구원장 철학박사 임주완>

<齊和 노장사상연구소장>

<活起 풍수원구원 대표>

<국제웰빙전문가협회 행복 코디네이터 책임교수>

 

저작권자 © 한국시민기자협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