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문편 2. 상대성의 원리(왕필통행본 제 2장)

 

 

原文)

天下皆知美之爲美, 斯惡已. 皆知善之爲善, 斯不善已.

故有無相生, 難易相成, 長短相較, 高下相傾, 音聲相和, 前後相隨.

是以聖人, 處無爲之事, 行不言之敎.

萬物作焉而不辭, 生而不有, 爲而不恃, 功成而弗居. 夫唯弗居, 是以弗去.

 

直譯)

天下皆知美之爲美(천하개지미지위미)

세상 사람들은 모두들 아름다운 것을 아름답다고 생각하겠지만

斯惡已(사오이)

이건 틀린 것이다.

皆知善之爲善(개지선지위선)

또한 모두가 좋은 것을 알기를 좋은 것으로 생각하고 있겠지만

斯不善已(사불선이)

이는 좋은 것이 아니다.

故有無相生(고유무상생)

왜냐하면, 있다 없다는 서로 어긋나며 생기는 것,

難易相成(난이상성)

어렵다 쉽다는 것은 서로 빗대어 이뤄지는 것,

長短相較(장단상교)

길다 짧다는 것은 서로 비교일 뿐,

高下相傾(고하상경)

높다 낮다는 건 기울어짐이 다를 뿐,

音聲相和(음성상화)

울림과 소리는 서로 화합해 버리는 것,

前後相隨(전후상수)

앞과 뒤란 서로 따른다는 차이뿐이다.

是以聖人 處無爲之事(시이성인 처무위지사)

그러므로 수양이 완성된 사람은 함이 없음을 일로 삼는데,

行不言之敎(행불언지교)

살면서 말 없음으로 가르침을 행하는 것이다.

萬物作焉而不辭(만물작언이불사)

우주의 온갖 것들은 무엇을 하더라도 그것이 비롯된다 하지 않고,

生而不有(생이불유)

낳았어도 있다고 하지 않으며,

爲而不恃 功成而弗居(위이불시 성공이불거)

이루었지만 연연하지 않고, 공을 세우고도 그 공에 안주하지 않는다.

夫唯弗居 是以不去(부유불거 시이불거)

대저 오직 어디에도 안주하지 않기에, 그래서 (블랙홀은) 사라지지 않는다.

 

解說)

이 2장은 1장에서 말한 우주에서 사람이란 무엇이며 어떤 역할을 맡았고 해야 하는지를 천명해 놓았다.

老子의 바른 해석이 새 세계의 기본적 사고체계를 이룰 수 있는 것으로 본다.

과연 노자는 무슨 말을 하고자 이렇게 서술했을까?

이 문장에 대해 기존의 해설서에서 그럴듯하게 수식을 하여 아는 것처럼 해 봤자 앞뒤가 서로 모순되는 말 밖에는 안되었던 것이다.

이 세상 모든 것은 들여다볼수록 미적(美的)이고 오묘하다.

1장에서 이미 이 우주(천지)는 오묘함의 극치라고 했었다.

미학(美學)이라는 학문이 있는데 그 개론이라도 읽어 보시라!

우주는 끝이 없는 아름다움이다.

그런데도 노자는 아름다운 것을 아름답다고 생각하는 것은 잘못이라고 했다.

그 다음으로는 좋은 것(善)을 좋은 것으로 생각하는 것 역시 그것이 좋은 것은 아니라고도 했다.

참으로 이해하기 어렵다.

우리 우주가 흐트러짐 없이 질서에 의해 유지되고 돌아가는 것이 좋은 것이 아니라는 건가?

좋은 것이 왜 좋은 것이 아닐까? 그럼 도대체 뭐란 말인가? 질문을 하지 않으면 해답도 기대할 수가 없는 것이다.

바로 다음에 그에 대한 답으로 설명이 연이어 언급되고 있다.

왜냐하면 있다 없다고 하는 것이나, 어렵다 쉽다, 길다 짧다고 하는 것, 높다 낮다, 울림과 소리, 앞과 뒤라는 것들 모두는 상대적(相對的)인 것이지 그것만으로는 그 어느 것도 확정적이거나 그것만으로 존재하는 정당성을 가진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아름답다, 좋다와 그 반대되는 것 들 역시 하나이지 다른 게 아니라는 말이다.

왜 그럴까? 원래 하나이기 때문이다.

다 같이 블랙홀(Black-Hole) 속에 있다가 빅뱅(Big-Bang)에 의해 吐出(토출)된 하나의 티끌일 따름이라 그런 것이다.

이 원리를 알면, 함이 없음을 일로 삼을 수 있고 말없음의 가르침을 행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우주와 우주만물은 Black-Hole 상태에서 Big-Bang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지만, 그 어느 것도 시작은 아닌 것이다. 왜냐하면 Big-Bang으로 생겨난 것들은 언젠가는 도로 Black-Hole로 빨려들고, 그 블랙홀은 언젠가는 다시 빅뱅을 일으킬 것이다.

여기에 시작이란 없다.

우주만물은 빅뱅현상으로 생겼지만 있는 것이 아닌 것은 도로 블랙홀로 들어가기에 있는 것이 아니다.

실제로 있다는 것의 존재는 變化(변화)일 뿐이라는 말이다.

그 뿐 아니라, 그렇게 만들고서도 내가 만들었다거나 내 것이라고 하지도 않는다. 이러한 것을 두고 공(功)을 세웠다고 한다면 그 세운 공에 눌러 앉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사라짐이 없이 영원히 지속되고 있어지는 것이라는 말이다.

노자는 아인슈타인이 19세기에 들어와서야 특수니 일반이니 하면서 주창한 상대성 원리를 기원전 600여년에 이미 언급한 것이다.

이 세상 어디에도 절대(絶對)란 있을 수 없다는 것이 진리다.

기독교나 이슬람교에서 말하는 절대자(Das Absolute)는 노자에게는 있을 수가 없다. 절대란 상대의 한쪽 면을 말하는 것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라는 것이다. 그러니까 깨달은 사람은 스스로 생각하지 않은 삶이나 일에 머물면서 말하지 않고도 가르치는 것이 있는 삶을 산다고 했다.

이것을 무위(無爲)라고 하는 것은 얼토당토않은 헛소리이고 실제로는 진정한 적극적 행위인 것이다.

왜 그런지 또 설명을 하고 있다.

이 세상 모든 만물은 나름대로 해야 할 것을 다하고 있지만, 스스로는 내가 시작한 것은 아니라고 하고, 시작하는 것도 아니라고 하며, 씨앗을 남겨 새 생명을 낳고서도 있다고도 내 것이라고도 하지 않으며, 하고서도 그게 내 뜻이었다고 하지 않고, 이루었으면서도 그 이룬 것에 남아 있지도 않는다고 했다.

아무데도 자신을 남기지 않기에, 그러므로 떠난 적도 없게 된다고 한 것이다.

 

餘說)

노자는 제2장에서 모든 것은 상대적인 것일 뿐이라고 했다.

기원전 2,500년경 장주(莊周)도 그의 저서 <장자(莊子)>의 제물론(齊物論)에서 우주의 원리는 상대성이며, 그 상대성이란 곧 하나의 무궁으로의 통합에 지나지 않는다고 갈파했다.

아인슈타인은 통일장이론을 완성하기 위해 전력을 다했지만 결국은 그의 생전에 이루지는 못했다.

『物無非彼, 物無非是. 自彼則不見, 自知則知之. 故曰, 彼出於是, 是亦因彼.

물무비피, 물무비시. 자피즉불견. 자지즉지지. 고왈, 피출어시. 시역인피.

彼是方生之說也.

피시방생지설야.

雖然, 方生方死, 方死方生. 方可方不可, 方不可方可. 因是因非, 因非因是.

수연, 방생방사, 방사방생. 방가방불가, 방불가방가. 인시인비, 인비인시.

是以聖人不由, 而照之于天.

시이성인불유, 이조지우천.

亦因是也, 是亦彼也, 彼亦是也. 彼亦一是非, 此亦一是非矣.

역인시야, 시역피야, 피역시야. 피역일시비, 차역일시비의.

果且有彼是乎哉. 果且無彼是乎哉.

과차유피시호재. 과차무피시호재.

彼是莫得其偶, 謂之道樞. 樞始得其環中, 以應無窮.

피시막득기우, 위지도추. 추시득기환중, 이응무궁.

是亦一無窮, 非亦一無窮也. 故曰, 莫若以明.

시역일무궁, 비역일무궁야. 고왈, 막약이명.』

『존재하는 물질과 개념은 저것 아닌 것이 없고, 동시에 이것 아닌 것도 없다.

저것이란 저것의 입장에서는 드러나 보이지 않는다 하더라도 이것을 안다는 입장을 통하면 알게 된다.

그러므로 이르기를, 저것이란 이것으로부터 나오는 것이고, 이것 역시 저것으로부터 말미암게 되는 것이라 한다.

저것과 이것은 서로가 서로를 낳는다고 하는 설명이다.

비록 그렇다고는 하나(그 뿐만이 아니라) 삶이 있으면 죽음도 있고 죽음이 있으면 삶도 있는 것이다.

이것은 그렇다(可)하게 되면 그러하지 아니하다(不可)가 있어지는 것이고, 그러하지 않은 것이 있으면 그러함도 있는 것이다.

옳다는 것으로 말미암아 그릇됨이 있고, 그릇됨이 있음으로써 옳음이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깨달은 사람은 이러한 까닭에 얽매이지 아니하고 자연(天)에 비추어서만 판단한다.

이것이야 말로 옳음에 근거를 두는 것이다.

이것이란 또한 저것이 되고, 저것이란 또한 이것이 된다. 저것도 한 가지로 옳고 그름이 되는 것이고, 이것도 한 가지로 옳고 그름이 되는 것이다.

그렇다면 과연 이것이라는 것과 저것이라는 것이 있다는 것인가, 과연 이것이라는 것과 저것이라는 것은 없다는 것인가?

이것과 저것이라는 상대적인 짝을 찾을 수 없는 상태에 이른 것을 일컬어 큰 도리의 중추(中樞, 버팀기둥)라고 하는 것이다.

이 도리의 중추가 그 모든 고리의 한가운데 적중(的中) 할 때야말로 무궁한(우주의) 변화에 대응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옳음도 하나의 무궁한 변화이고 그름 역시 하나의 무궁한 변화일 따름이다.

그래서 이르기를, 밝은 지혜로써 판단하는 것보다 더 나은 것은 없다고 한다.』

이 문장에서의 물(物)이란 물질적인 물건만을 뜻하는 용어가 아니다.

장자뿐 아니라 노자도 物이라는 용어를 많이 사용했는데 이 말은 우리나라 말로 번역할 적절한 단어가 없다.

하여 유영모(柳永模)는 노자의 저서(著書)를 번역하면서 이에 대응할 우리말로 ‘몬’이라는 생경한 낱말을 지어내기까지 하였지만 그 후 통용되지 않았다.

物이란 물질적인 물건만을 뜻함이 아니라, 인간의 두뇌가 관념으로 특정할 수 있는 개념 모두를 통괄하는 인간의 사고의 대상을 말한다.

또한 이 문장에서 시(是)라는 표현은 ‘이것’, ‘이편’, ‘이쪽’이라는 뜻 외에도 ‘옳다’, ‘바르다’의 뜻을 동시에 가지고 있어서, 문장의 내용에 따라 두 가지 중에서 한 가지 뜻으로 해석해야 한다.

因(인)은 ‘원인’ ‘인연하여’라는 의미로 흔히 쓰이지만, ‘말미암아’라는 의미로도 쓰인다.

이제 노자가 따지고 드는 방향과, 장자가 파고 들어가는 방향이 어떻게 다른 것인지 짐작이 오는가?

 

 * 아인슈타인(Albert Einstein)의 특수상대성이론인 E = MC2(엠 씨 제곱)를 쉽게 풀이하자면, 물질이 빛의 속도에 이르면 에너지로 변한다는 말이다.

또한 그는 성공을 다음과 같은 방정식으로도 정리했다.

A = X + Y + Z

(A는 성공, X는 일, Y는 놀이, Z는 입을 다무는 것)

<활기 정신건강증진연구원장 철학박사 임주완>

<齊和 노장사상연구소장>

<活起 풍수원구원 대표>

<국제웰빙전문가협회 행복 코디네이터 책임교수>

 

저작권자 © 한국시민기자협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