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0년 3월 8일 자유당 독재정권의 불법적 인권유린에 대항한 대전지역 학생들의 민주화운동

김용재 회장
김용재 회장

3·8 민주의거는 1960년 3월 8일에서 3월 10일에 걸쳐 자유당 독재정권의 부정과 부패, 불법적 인권유린에 대항해 대전지역 고등학생들이 민주와 자유, 정의를 위한 순수한 열정으로 불의에 항거한 민주화운동이다. 3·8 민주의거는 충청권 최초의 학생운동이며 지역 민주화운동의 효시로 역사적 교훈과 가치가 큰 것이며 대구의 2·28, 마산의 3·15와 함께 4·19 혁명의 단초로서 중대한 의의를 새길 수 있는 것이다.

당시 고등학교 1학년 학생으로 3·8 민주의거에 참여한 김용재 회장으로부터 3·8 민주의거와 (사)3·8 민주의거기념사업회에 대해 들어봤다.

 

3·8 민주의거
3·8 민주의거

 

Q. 3·8 민주의거에 대해 설명 부탁드립니다.

A. 1960년 3월 8일 대전시 공설운동장에서 개최되는 야당 부통령 후보인 장면 박사의 선거연설회와 때를 맞추어 경찰의 저지망을 뚫고 대전고등학교 1000여 명의 학생이 독재타도와 학원의 자유를 외치며 시민들의 환호 속에 격렬하게 시위를 전개한 사건입니다.

본래 대전시내 고교생들이 연대하여 시위에 참가하기로 했지만 사전 발각되어 경찰의 극심한 저지를 받는 가운데 보문고등학교는 3월 9일부터, 대전공업고등학교는 3월 10일부터의 학기말 시험(당시는 4월에 새학기 시작)으로 시위를 봉쇄했으며 9일에는 또 경찰에서 4개학교 학생대표 24명을 연행, 구속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0일에는 다시 대전상업고등학교 학생 600여 명이 자유당의 그릇된 정부통령 선거전략을 규탄하고 구속 학생 석방을 요구하며 학원의 자유를 쟁취하기 위한 열렬한 시위를 감행했습니다. 대전여고, 호수돈여고, 대전시범학교는 일찍 봉쇄되어 교내 시위에 그쳤는데 이 과정을 통합해 ‘3·8 민주의거’로 규정했습니다.

 

3·8 민주의거
3·8 민주의거

 

Q. 김용재 선생님은 3·8 민주의거에 참여하신 분인가요?

A. 네, 직접 참여했지요. 그때는 4월 1일이 학기 초였습니다. 그래서 3월 8일이면 학기말, 1학년이었고 4·19 때는 2학년이 되었지요. 3월 8일, (고등학교)1학년 말에 3·8 데모를 한 것이지요. 그러니까 지금 생각해서 3월 8일, 막 입학한 고등학교 1학년이 뭘 알겠냐고 생각할 수 있는데, 그때는 1학년이 아니라 2학년이었습니다. 그때는 일반 시민이나 청년들은 데모를 못했어요. 고등학생밖에 할 수 없었지요. “고등학생은 데모하면 취직 못 한다”, “대학도 못 간다”며 엄포를 놨는데도 했어요. 특히 경찰계통이나 공무원계통 사람들은 불이익을 당하고 부정을 봐도 잘리니까 나서지를 못했던 때입니다.

 

3·8 민주의거
3·8 민주의거

 

Q. 1960년 3·8 민주의거 당시 상황을 말씀해주세요.

A. 시위가 진행되면서 100여 명의 학생이 연행 구속되어 고초를 당했으며 수많은 학생이 총 개머리판과 방망이로 얻어맞았고 교복, 교모, 신발, 소지품 등 잃어버린 물건이 수없이 많았어요. 또한 논바닥에 가두어 놓은 인분통에 빠지고 넘어져 곤경에 처하거나 상처가 난 경우도 허다했어요. 한 달 이상을 피신했던 학도호국단 간부들도 있었고 부상으로 오랫동안 병원 신세를 지는 학생도 많았지요. 특히 두 명의 교사(대전고 조남호, 금종철)가 수갑을 차고 곤봉 세례를 받으며 경찰서에 연행되는 애끓는 장면이 있었는가 하면 경찰 방망이로 맞아 고막이 터지고 평생 불구의 몸으로 살아가는 처절한 인생(대전고 송병준)도 있었어요. 당시 이러한 사실은 대부분 조선, 동아, 한국, 서울, 대전, 중도일보 등 전국의 신문에 대서특필됐고 2000년부터 시작한 3·8 민주의거 기념사업회의 각종 간행물에 새롭게 조명되고 있습니다.

 

3·8 민주의거
3·8 민주의거

Q. 3·8 민주의거 기념일 제정 조례 공포는 언제 되었나요?

A. 2009년 10월 9일 대전광역시 기념일 제정 조례를 공포했고 2013년 4월 29일 3·8 대전민주의거의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법 일부 개정 법률안이 국회본회의에서 통과되어 우리나라 민주주의 발전에 크게 공헌한 업적을 인정받고 있습니다.

그리고 마침내 2018년 11월 2일 3·8 민주의거일은 2·28, 3·15, 4·19와 함께 국가기념일로 공포(대통령령 제2927호)되어 민주화운동의 명문으로 자리 잡고 있는 것입니다.

 

대전시청 남문광장에서 이낙연 전 국무총리, 허태정 대전시장, 대전고등학교 학생들이 3·8 민주의거 당시를 재현한 거리행진을 하고 있다.
대전시청 남문광장에서 이낙연 전 국무총리, 허태정 대전시장, 대전고등학교 학생들이 3·8 민주의거 당시를 재현한 거리행진을 하고 있다.

 

Q. 3·8 민주의거를 일으킨 주요 목적은 무엇이었나요?

A. 이승만 대통령을 지금도 민주주의의 선구자다, 반공투사다, 이렇게 보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4·19의 원흉이다, 독재자다, 역적이다… 이렇게 보는 사람도 있단 말이죠. 그래서 이승만 대통령이 우리나라 초대대통령이고 민주교육을 선진 미국에서 박사까지 받아가며 익혀온 국부인데 대통령이 돼서 오래 하다 보니 권력에 대한 욕심이 많아지게 됩니다. 제일 유명한 것이 사사오입 파동이죠. 기본적으로 뭐냐면, 초대 대통령에 한해서 연임, 삼임, 중임을 할 수 있도록 만들려고 했습니다. 통과를 위해 2/3의 찬성을 얻어야 하는데 그걸 못 얻었단 말이죠. 그래서 사사오입을 하면 묘하게 한 표 차이가 나요. 그런데 사람은 0.1이든 3.4든 0 다음에 있는 건 한 사람으로 쳐줘야 된다고. 사사오입이 적용이 안 되니까 처음에 부결됐다고 선포를 했다가 어용학자를 데려다 사사오입을 적용시켜 다음날 부결된 것을 다시 통과됐다고 발표한 것이었죠.

거기서부터 시작된 것입니다. 반공법이니 언론 잡는 것들 전부 만들어서 장기집권을 노린 거였어요. 그런데 이승만이 얼마나 운이 좋은 사람이었는지, 56년 야당 민주당 대표 신익희가 전부 대통령이 된다고 했는데 선거 1주일 전에 호남선 내려가다 죽었어요. 60년 5월 15일 선거를 하도록 되어있는데 민심이 이반되고 가면 갈수록 자유당이 불리한 입장이 되니까 농번기라 힘들다는 핑계로 3월 15일로 선거를 2개월을 당겼어요. 그런데 유력한 후보 조병옥 박사가 그 한 달 전인 2월 15일에 죽었어요.

그런데 대통령 나이가 많으니까 후계자를 그 임기 중에 정해야 된다고, 이기붕을 당선시키기 위해 갖은 선거공약을 한 거지요. 삼삼오오 완장부대 완장 차고 선거독려를 하는데 학교 선생님들은 전부 가정방문. 가정방문이 학생들 공부 잘하라고 환경 검사하고 북돋는 의미가 아니라 가정방문이 선거운동이었어요. 그래서 동마다 통반장 이런 사람들이 학교 선생이고 홍보물로 고무신, 빨랫비누 같은 것들을 돌리며 선거운동을 했습니다. 이런 것들이 학생들 눈에도 보였지요. 학교는 사복형사를 투입시켜 학생들 일거수일투족을 보고하고요. 그런데 공부만 하는 학생들은 뭐가 어떻게 되는지 몰랐을 수도 있지요. 그런데 그 당시 지금도 물론 그렇지만 학생들에게 하라는 건 공부 하나밖에 없어요. 그거 말고는 전부 ‘하지 마라’였어요. 하지 마라, 가지 마라. 빵집, 술집, 당구장, 극장… 이런 데 전부. 저녁에는 통금이 있던 시대니까 10시 이후는 교사들이 조를 짜 순찰을 돌았고 걸리면 유기정학이니 무기정학이니 하는 처벌이 내려졌지요.

주목해야될 것은 4·19를 통해 희생된 사람이 186명인데, 대전고등학교 출신 3명은 같은 학교 피해자 중 제일 많습니다. 당시 대전고등학교 출신 학생이 서울대, 중앙대, 경희대에 진학해 4·19 데모 중 사망해 이렇게 세 명이 고등학생 사망자로는 제일 많고 조사한 바에 따르면 대학생은 서울대와 중앙대에서 제일 많은, 각각 6명의 희생자가 보고되었다고 합니다.

 

민주의거 기념탑
3·8 민주의거 기념탑

Q. 3·8 민주의거 기념 회관 건립은 어떻게 전개되고 있나요?

A. 국비 58억, 시비 98억. 156억인데 설계비가 6억 5000으로 총 162억 5000만 원으로 진행하고 있습니다. 설계는 금년까지 다 끝냈고 내년부터 작업이 시작돼 2024년 3월 8일 개관 예정입니다. 장소는 옛날 도청 뒤, 780평 정도 규모의 4층 건물이며 현재 지반 검사까지 된 걸로 알고 있습니다.

 

3·8 민주의거
3·8 민주의거

 

Q. 앞으로 계획은요?

A. 기념관 건립 계속 추진, 연중 사업 활성화, 계승세대 회원 확보, 조직체제 정비, 학생 및 시민 중심 신규 사업 확장, 지원금으로 이용하지 못하는 운영비 및 인건비 문제 해결 등 할 일이 참 많습니다. 국가기념일 위상에 맞는 일들을 선정해서 발전의 의미를 더욱 확충해 나갈 것입니다.

저작권자 © 한국시민기자협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