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광역시 허태정시장

대전상권발전위원회 전경
대전상권발전위원회 전경

장수현 대전상권 발전위원회 회장은 지역경제의 주축을 이루기 위해 대전광역시와 긴밀한 협조를 이끌어 간다.

"뭉쳐진 대전의 250개 상권 대전경제 부흥의 중심 이며 14만 자영업자및 소상공인은 형제이며 가족이다" 우리 대전상권 발전위원회와 함께 어렵고 힘든 과정을 함께하며 대변인 역할을 자처하고 있는 곳이다.

지난 3년은 코로나19로 인한 일시 멈춤에도 10, 20년 묵은 과제를 모두 해결함과 동시에, 대전의 미래 100년을 책임질 일자리·먹거리를 마련하는 등 대전 도시 비전을 확정하였다.

❍ 대전의 가장 큰 숙원이었던 원도심 재생 문제는 획기적인 실행방안을 마련하였고, 대덕특구 50년 인프라를 기반으로 혁신창업기지를 만드는 대전의 도시비전을 확정하여 숙원사업을 진행해 나가고있다.

❍ 이제 대전은 신경제 중심축이 될 대전역 중앙로 일대와 대덕특구 일원의 혁신산업 창업기지라는 두 축을 중심으로 웅비하는 도시 비전과 전략을 갖추어 명실상부한 대한민국의 중심 허브가 되고 있다.

대전상권 발전위원회는 14만 자영업자와 함께한다.
대전상권 발전위원회는 14만 자영업자와 함께한다.

이러한 입지조건을 활용하여 대전광역시 허태정 시장의 미래 구상에 대해 개인적인 사항들을 기고한 내용이다. 장수현 회장의 혜안이 돋보이는 현실적인 내용을 토대로 더욱 발전하는 대전광역시의 표상으로 우뚝솟길 희망하면서 "행동하지 않으면 성공도 없다"라는 의미를 되새겨 보길 바란다.

첫째, 대전역·중앙로 일대를 신경제중심으로 탈바꿈하는 획기적인 원도심 발전 방안을 확정하였으며,

둘째, 대전 원도심 문제는 꼭 해결해야 할 숙원이었음. 대전역·중앙로 일대가 신경제 중심으로 이미 탈바꿈을 시작함. 더구나 대흥동·선화동 일대까지 도심융합특구가 조성되어 산업, 문화, 주거가 어울린 첨단도심이 조성될 것이다.

셋째, 정부 혁신도시 정책의 새 모델을 제시하고, 첫 모델로 대전혁신도시를 유치했다.

대전상권발전위원회 로고
대전상권발전위원회 로고

 당초에는  정부 혁신도시정책은 신도시에 혁신도시를 꾸미는 방식이었으나, 시간이 지나도 정주권이 확보되지 않아 썰렁한 도시를 극복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고 볼수 있다.

넷째, 전국 대도시의 문제는 원도심 슬럼화 문제이며, 대전역 주변에 혁신도시를 유치한다는 구상은 썰렁한 신도시 문제와 원도심 문제를 일거에 해결한 묘책임에는 틀림이 없다.

다섯째, 혁신도시와 함께 도심융합특구를 대전역과 중앙로 일대에 조성, 산업, 문화, 주거가 동시에 구축되는 이점을 살려야 된다.

여섯째, 대덕특구를 혁신창업기지로 확대, 대전의 일자리·먹거리를 책임지는 미래성장동력을 확보하고  마련해야 한다.

일곱번째, R&D(연구개발) 중심의 대덕특구를 혁신창업 기지로 탈바꿈시키는 작업이 시작됐음. 대한민국판 실리콘밸리 위상을 점차 만들어 가야 한다.

(사)대전상권발전위원회 장수현회장
(사)대전상권발전위원회 장수현회장

여덟번째, 이미 사이언스 콤플렉스를 완공하는 등 대덕연구개발특구 리모델링사업이 완료시점에 이르렀다. 바이오메디컬 규제자유특구를 유치하고, 스타트업파크와 팁스타운 조성사업도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

아홉번째,  둔곡, 신동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혁신도시가 들어서는 연축지구, 장대 첨단산단 등 대덕특구 주변의 산업단지 개발 계획은 혁신창업에 나서는 기업들이 촘촘히 입주하면서 혁신창업기지를 확대해 나가야 될것이다.

마지막으로 대전을 중심으로 3개 시·도와 충남대를 중심으로한 24개 대학, 현대자동차 등 81개 기업, ETRI 등 63개 기관을 비롯 모두 170개 기관이 참여하는 지자체-대학 지역혁신 플랫폼 구축사업을 유치하여 충청권 공동이익 공동발전의 토대를 마련하였다.

가장 큰 이슈로 대전 광역시민이 꼽고 있는 것은 허태정 대전광역시장의  지역화폐 온통대전은 1년여 만에 대전시민에게 가장 사랑받는 정책으로 대전의 브랜드가 되었다는 것이다.

1. 대전시민 60만명이 사용함. 경제 주체는 대부분 사용한다고 봄. 하루 거래액이 50억원, 한달 1,500억원 어치를 온통대전으로 소비하고 있다.

2. 코로나19로 인한 경기침체 속에서 소상공인과 자영업자에게 희망을 주었고, 재난지원금을 지급하는 수단으로도 활용하였다.

3. 지역 서점을 살리기 위해 책 구입시 온통대전 캐시백을 확대한 것처럼, 앞으로 지역의 문제를 지역화폐운동을 통해 해결하는 정책발행을 지속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4. 아울러 지역화폐는 지역에서 생산한 부의 지역외 유출을 막는 지역경제 유발효과도 나타나고 있으며, 온통대전은 말 그대로 대전의 브랜드가 되었다.

5. 대전-세종통합 제안은 결국 충청권 메가시티의 물꼬를 텄음. 대전 중심 국가철도 구축계획이 확정된 것은 메가시티라는 큰 그림을 그릴 수 있는 원동력을 확보한 것이다.

 

 1년 전인 2020년 7월, 대전-세종의 통합을 제안하였음. 권역별 메가시티의 흐름을 인지하고 공동생활권이자 공동운명체인 대전-세종의 200만 통합을 먼저 제안한 것임. 이 흐름은 혁신도시 공조 등 충청권 4개 시도의 본격 협력시대를 여는데 기여하였으며,

 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이 확정됨에 따라 대전 어느 곳에서나 청주공항까지 40분대 돌파가 가능하게 되었고, 도시철도 1호선이 반석에서 세종을 거쳐 조치원, 오송, 청주공항까지 연결되어야 한다.

 또 충청권 광역철도는 사실상 대전의 3호선 역할을 함. 계룡에서 도마, 서대전, 오정, 대전역, 회덕, 신탄진을 거쳐 조치원, 청주공항으로 연결되어야 하며, 게다가 한 축은 옥천까지 연장되고, 다른 한 축은 강경, 연무대까지 연결되어야 비로소 대전이 철도망으로 충청권 사통팔달 핵심축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대전의 10년, 20년 이상 묵은 숙원사업을 모두 해결, 본격 사업화 토대를 마련하였다는 것에 의미를 두어야 할것이다.

 20년 넘게 사업방식을 정하지 못하고 끌어온 도시철도 2호선 트램 사업을 확정하여, 본격 설계에 들어갔다. 트램은 그 자체가 도시의 경관임. 멋진 트램 디자인을 위해 독일 회사에 의뢰한 상태임. 아울러 정거장마다 특색있는 공간구성으로 트램 정거장을 중심으로 상권은 물론 마을이 생동감 있게 살아나도록 설계할 것이다.

또한 임기초 건설방식을 놓고 더 고민하고 시간을 끌었다면 대전에 2호선 자체가 없었을 수도 있었다는 것은 행정력의 단초와 리덕의 역동성을 볼수 있다는 것이다.

종합병원이 없는 동구지역에 대전의료원을 만들고, 서구지역에 공공어린이재활병원도 착공함. 하수종말처리장 이전도 확정하여, 친환경시설 현대화사업으로 진행하고 있음. 혐오시설이 아니라 시민의 유휴시설로 같이 활용될 것이다.

 내년 10월 대전에서 UCLG 세계지방정부 총회가 열림. 1993년 엑스포 개최이후 30년만에 대전이 세계 무대에 다시 데뷔하는 국제행사임. UCLG는 140개국 1,000개 도시가 참여하고 있다.

 청년도시, 생태도시, 사람중심도시를 기반으로 도시의 미래비전을 설계하고 있다.

청년 일자리를 만드는 것은 대전이라는 도시 공동체를 유지하느냐, 소멸하느냐 하는 문제로 인식하고 있다. 혁신도시를 유치하고 충청권 입주 공공기관에 최고 30%까지 지역인재를 의무채용 하도록 법제화 한 것은 이러한 의지에서 나온 것이다.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사업(RIS)도 궁극적 목표는 우리 지역이 우리 지역 청년을 키우는 일자리 사업이다. 첫 착공한 유성 구암 다가온 공공임대주택 건설도 청년과 신혼부부에게 안락한 정주여건을 마련하겠다는 것이다.

 대전지역 곳곳에 1,000개의 숲 조성사업, 3대 하천 푸른 물길 사업, 물순환도시 계획 등도 코로나19이후 더욱 중요해진 생태도시, 사람중심 도시를 만들겠다는 일련의 구상임. 5030 안전속도, 탄소중립 도시 선언은 결국 사람을 땅의 주인으로 회복하는 시발점이 될것이다.

저작권자 © 한국시민기자협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