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만대장경 앞에서 깊은 불심을 생각하다.
고승의 정성이 또렷하게 느껴지는 팔만대장경!

지난 주말 대한상공협의회 대표회장 박재완 행코 책임교수와 함께 경남 합천군 가야산에 있는 해인사를 방문하였다. 고요함이 가득한 해인사는 사적 제504호로서 순천의 수계사찰(승보) 송광사, 양산의 진신사리(불보)와 함께 팔만대장경(법보)을 보유한 대한불교 조계종의 3대 사찰이다.

1천년이 넘은 고사목이 일주문 인근에서 방문객을 맞이하는 것만 보아도 해인사의 역사성을 물씬 느끼게 한다. 해인사에는 대한민국 국보일뿐 아니라 세계기록유산인 팔만대장경이 관리인들의 통제하에 엄격하게 관리되고 있다. 

본래 강화도에 있던 팔만대장경을 조선 태조때에 해인사로 옮겼다고 한다. 해인사는 신라시대 애장왕 3년인 802년에 소성왕의 어머니인 성목태후와 애장왕의 엄청난 시주로 건축된 사찰이고, 팔만대장경은 고려시대에 만들어 졌다. 누군가의 수고로움으로 각기 다른 시대에 만들어진 유물을 우리는 한 자리에서 바라볼 수 있게 된 것이다.

해인사라는 사찰명에는 전설이 담겨 있다. 아주 오래된 옛날 착한 노인이 집없는 개를 만나 집으로 데려가서 키웠다. 그런데 그 개는 용왕의 딸이었는데 잘못을 범한 까닭에 강아지로 환생하여 속죄하는 중이었던 것이다. 아무튼 속죄기간이 끝난 후 용궁으로 돌아간 용왕의 딸은 아버지 용왕의 허락을 받아 큰 선물을 노인에게 갖다 주었다. 그것은 노인의 소원문을 이루어주는 도장이었다. 노인은 절을 세우는 소원문을 쓰고 용왕의 선물로 받은 도장을 찍어 사찰 건축비용을 대었다고 한다. 그로 인해 바다 해(海)와 도장 인(印)을 써서 해인사가 되었다고 한다. 이 외에도 애장왕 시대 승려 순응이 가야산에 정착했고 애장왕의 부인이 등창으로 고생할 때 오색실을 배나무에 묶어 아픈곳에 대어 낫게했다는 전설도 있다.

거란군의 침입을 막고자 만들기 시작한 팔만대장경! 정식 명칭은 '해인사 대장경판', '재조대장경' 이나, 보통 '팔만대장경'이라고 부른다. 대장경판은 한지에 불경을 인쇄하기 위해 고승들이 일일이 판각하여 만든 목판이다. 이 판을 인쇄하여 만든 판본 불경들은 해인사, 오대산의 월정서, 부산의 동아대학교에 소장되어 있다.

문화재청의 공식 발표에 의하면 팔만대장경의 경판 숫자는 8만 1352판으로 확인되었다. 깊은 불심을 발견하게 하는 해인사는 고려시대 대각국사 의천이 머물렀고, 성철 스님이 입적한 곳이기도 하다. 해인사 산책로를 거닐면서 자연의 소리도 들으며 코로나 블루도 해소하고 힐링과 웰빙의 시간을 가져봄도 괜찮을듯 하다.

 

글 / 뉴스포털1 전국방송취재본부장 김용진 교수

(국제웰빙전문가협회 협회장, 국제웰빙대학교 총장, 행코기자단 단장, 행복 코디네이터 창시자)

동행취재 / 행복코디네이터총연합회 회장 김동호, 대한상공협의회 회장 박재완, 한국강사총연합회 사무총장 조옥성

저작권자 © 한국시민기자협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