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도 사랑할 수 있을까?라는 주제로 오마이뉴스 오연호대표이사가 마이크를 잡았다.

"우리도 사랑할 수 있을까?라는 주제로 오마이뉴스 오연호대표이사가 마이크를 잡았다.
"우리도 사랑할 수 있을까?라는 주제로 오마이뉴스 오연호대표이사가 마이크를 잡았다.

제1463회 금요조찬포럼 오마이뉴스 오연호 대표 강의 내용을 정리했습니다. " 덴마크 민주주의가 좋은 점"

"우리도 사랑할 수 있을까?라는 주제로 오마이뉴스 오연호대표이사가 마이크를 잡았다.

[강의 요약] 저는 전남 곡성 죽곡면 용정마을에 첫번째 집에서 태어났습니다.

오연호대표님은 어디서 그런 힘이 나옵니까?라고 물으면 저는 제가 태어난 곡성 죽곡면 50개의 집 밖에 없는 용정마을에서 힘이 나옵니다.라고 이야기합니다. 제가 덴마크를 자주 가는 이유는 제가 태어난 고향마을과 너무 닮아서 좋아하게 되었습니다.제가 덴마크를 22번이나 갔다 왔습니다.

UN에서 조사한 행복지수 1위의 나라는 덴마크이다.

왜 그런가 보았더니 덴마크는

첫째 중심철학이 확실하다.

중심철학이 문화와 되어 있기 때문이다.

내가 행복할려면 옆사람이 행복해야 한다.

개인의 자유를 만끽하되 옆사람도 행복해야 한다

둘째 말했으면 문화화 해야 한다.

셋째 광장과 밀실의 조화가 잘 이루어져 있다

노르웨이의 호텔종업원은 고등학교만 졸업하고 호텔에서 일하고 있지만 그 직업의식이 너무나 당당하다.

2014년에 "우리도 행복할 수 있을까?"라는 책을 출판했더니 14번이나 덴마크를 방문하는 여행가이드가 되었고 1081번이나 강연하게 되었다.

행복사회 덴마크"의 2가지 징표

(1)학생:초등학생때의 표정이 고3까지 유지된다

(2)직장인:주말 뿐만 아니라 주중도 즐겁다.

*덴마크 숲 유치원에 프로그램이 없는 까닭은?

아침9시에 와서 오후 3시까지 있는 동안 몸과 마음이 시키는대로 활동하게 놔 둔다

스스로 더불어 즐겁게 보냈던 어린 시절이 가난했지만 행복했다.

이렇게 좋은 것을 우리는 왜 서서히 잃어갔을까?

행복의 제1조건 "선택의 자유"

"창조"와 "창의력"의 원천

스스로 선택하니 즐겁다.

"대구 초등학생의 일기"

저는 제가 살고 있는 것이 아닙니다.우리 엄마가 살고 있습니다.

부산 여고생의(우리도 행복할 수 있을까)독후감

"덴마크 학생은 야생마 같다 그러나 우리는 앞만 보고 달려야 하는 경주마 신세다

부산 여고생의 (우리는 행복할 수 있을까)독후감

"우리 학교 급식에 나오는 소고기는 1등급인데 우린 왜 이렇게 3등급 이하가 많을까...."

"말로만 괜찮다고 하지 마시고 실제로도 괜찮으십시오"

덴마크 고등학교 졸업생들의 졸업식은 트럭을 한대 빌려서 종일카퍼레이드를 합니다. 졸업생 집집마다 찾아다니면서 당신 아이때문에 우리는 3년동안 너무나 행복했다.고 기를 세워줍니다.

왜냐하면, 고등학교 졸업하면 사회에 진출하는데 기가 죽으면 되겠습니까?

덴마크는 공무원 시함이 없다.

가도 괜찮은 직업이 수없이 많기 때문이다.

덴마크의 택시 기사는 우리나라보다 5배 비싸다.

덴마크는 대기업이 없다. 중소기업과 가족기업이 많다.

덴마크 행복의 기반:철학의 공유

"내가 행복하려면 우리가 행복해야 한다

"헌법 10조

대한민국의 모든 국민은 존엄과 가치를 가지며 행복을 추구할 권리가 있다."

"오늘의 질문

*승자 10%만 살릴 것인가?

헌법 10조를 살릴 것인가?"

행복사회의 3대복지

*쉬었다 가도 괜찮아

*다른 길로 가도 괜찮아

*지금 이미 잘 하지 않아도 괜찮아

덴마크 에프터 스콜레 250개 "1년 쉬었다 가도 괜찮아"

꿈틀리 인생학교 신안캠퍼스 2019년 4월2일 개교(전남 신안 도초도)

덴마크 민주주의 날

"인생은 내내 성장기다

내 안에 또 다른 내가 있다."

오늘 금요조찬 수강 소감은

덴마크의 공동체는 우리의 오랜 철학인 홍익정신의 일부분에 닿아있다는 느낌을 받았다.우리의 국혼인 홍익정신을 이땅에

확대 보급해야 하는데에 대한 아쉬움이 남았습니다.

"우리도 사랑할 수 있을까?라는 주제로 오마이뉴스 오연호대표이사가 마이크를 잡았다.
시민기자 1민명을 목표로 선전하고 있습니다. 현재는 약 5천여명 활동 중
시민기자 1민명을 목표로 선전하고 있습니다. 현재는 약 5천여명 활동 중
저작권자 © 한국시민기자협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