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날 MOU 체결은 신한서재능경력대학원에서 한국중입자암치료센터와 ‘생명의료과학대학교(원)중입자암치료센터 입자가속기연구소’설립 및 개원, ‘입자치료학 전문인력양성’등을 위함이고 (주)한국중입자암치료센터는 이를 위한 기술력 지원등의 업무협약이다.

신한서재능경력대학원 함기철 이사장(왼쪽)과 (주)한국중입자암치료센터 조규면 회장(오른쪽)이 협약서에 서명을 하고 있다.
신한서재능경력대학원 함기철 이사장(왼쪽)과 (주)한국중입자암치료센터 조규면 회장(오른쪽)이 협약서에 서명을 하고 있다.

함기철 이사장은 “오늘 업무협약은 암으로 고통받는 환자가 더 이상 없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체결한 것이다”며 “대한민국 국민 모두가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누릴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신한서 재능경력대학원 함기철 이사장 인사말
신한서 재능경력대학원 함기철 이사장 인사말

조규면 회장은 “중입자가속기는 입자치료(Particle therapy) = 양성자치료(Proton therapy) + 중이온치료(Heavy-ion therapy) 모두 가능한 Combined therapy입니다”라며 “독일은 양성자치료와 중이온치료가 모두 가능한 통합형 치료시스템이며 입자를 이용한 치료는 정상조직의 손상을 최소로 하고 암세포에서만 에너지를 발산하여 치료 후의 암세포를 정상조직으로 치유하는 암 치료 방법입니다. 또한 암세포 주변의 저산소세포 등도 파괴되어 재발률이 거의 없고 수술에 따른 부작용이나 합병증 없이 암 치료를 할 수 있는 '꿈의 암치료기' 입니다.”고 한국중입자암치료센터 중입자가속기에 대해 설명했다.

(주)한국중입자암치료센터 조규면 회장 인사말
(주)한국중입자암치료센터 조규면 회장 인사말

이날 협약식을 체결한 신한서재능경력대학원은 함기철 이사장이 1991년에 산간벽지였던 불모지에 한서대학교를 창시 설립해 대학을 운영하며 깊은 통한을 느꼈던 것은 교육부산하 대학들의 현실을 안타깝게 여겨 한서대학교 퇴임 후 2010년 설립했으며 신한서재능경력대학원의 교육제도는 각 산업현장이 학교가 되고 재능과 경력이 교육수업일수로 환산되어 학위로 인정되는 재능경력인증 시스템으로 대한민국 특허청으로부터 발명특허를 등록 해 지적재산권을 확보하고 법률에 의거 신한서재능경력대학원 영리법인으로 설립 등기를 마치고 국세법에 의해 사업자등록 인가를 받고 재능경력인증, 자격증부여등 4개(재능경력중심학점인정학사관리시스템, 재능기부은행서비스업)의 항목으로 재능과 경력자들에게 학위를 수여 하는 신개념의 시스템 교육제도이다.

업무협약식
업무협약식

(주)한국중입자암치료센터는 제주특별자치도 설치 및 국제자유도시 조성을 위한 특별법 산하 ‘보건의료 특례 등에 관한 조례’의 외국의료기관 설립 규정에 준하여 2013년 9월 자본금 한화 60억원(설립 요건: 미화 500만달러 이상)를 납입하여 제주지방법원에 상업등기를 한 국내 최초의 주식회사형 병원 법인이다.

또한 (주)한국중입자암치료센터는 제주도에 중입자암치료병원을 설립하여 운영하는 사업과 그와 관련된 메디텔 등 부대시설 및 제반시설 등의 건설, 운영 및 관리사업, 중입자암치료와 관련된 의학 및 의료 서비스의 발전을 위한 연구, 개발사업, 그에 필요한 인력의 훈련 양성 및 수급 지원 사업, 중입자가속기를 이용한 치료 및 진단장비, 의료용 기자재 등의 수입, 도소매 및 임대사업, 국내외 환자 치료에 필요한 이송, 숙박 등 서비스 관련 사업 등을 사업 목적으로 제주지방법원에서 허가를 득했다.

현재 (주)한국중입자암치료센터는 덴마크 왕립기술연구소 산하 가속기 전문 기업인 ‘단퓌직’과 2012년 11월 의료용 입자가속기 시스템 도입을 위한 본계약을 체결하고, 관련 기관들과 한-유럽 컨소시엄을 형성하여 한국의 중입자암치료센터의 2020년 개원을 목표로 전력을 다하고 있으며, 국내 암센터가 개원되기 전까지 독일과 일본 등에서 치료를 받을 수 있는 암환자를 대상으로 한 입자치료를 중심으로 환자해외이송서비스를 우선 시행하고 있다.

(주)한국중입자암치료센터는 대한민국 암센터의 글로벌 경쟁력을 높이고, 암으로부터 고통받는 사람들을 건강하게 지키며, 더 나아가 건강한 세상을 만드는 선구적 기업이 되기 위해최선의 노력을 하는 기업이다.

저작권자 © 한국시민기자협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