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시민기자협회 뉴스포털1 김민주기자] 이 기사는 조선이공대학교 프랜차이즈창업경영과 조계범교수의 칼럼입니다.

프랜차이즈 산업의 급속한 팽창으로 인해 연관 산업의 발전뿐만 아니라 고용창출효과, 독립창업과 비교 시 높은 매출과 낮은 폐점률 등 다양한 순기능을 하고 있다. 일부 언론에서 프랜차이즈의 각종 폐혜에 대하여 수시로 노출시키고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예비창업자들의 프랜차이즈 선호도는 점점 더 증가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만큼 창업 후 안정적인 운영을 할 수 있는 확률이 프랜차이즈 창업이 독립창업에 비해 높다는 것을 반증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프랜차이즈 산업의 성장으로 인해 수도권 뿐 만 아니라 지역에 거점을 둔 로컬 프랜차이즈의 숫자도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으며, 몇몇 브랜드들은 로컬프랜차이즈가 맞나 싶을 정도로 상당히 세련된 컨셉과 체계적인 운영을 통해 해당 지역에서 큰 히트를 치고 있는 브랜드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 프랜차이즈 산업은 여전히 수도권 프랜차이즈들이 시장을 주도하고 있으며, 로컬 프랜차이즈의 경우 전국구 프랜차이즈로 거듭난 극소수의 브랜드를 제외하고는 해당 도시와 그 외곽 지역으로만 진출하며, 그들만의 리그를 하고 있는 경우가 상당수를 차지하고 있다.

일부 로컬프랜차이즈는 야심차게 전국화를 기치로 수도권에 진출하여 과감한 투자와 함께 적극적인 마케팅 전략을 구사하여, 성공을 거두기도 하지만 이러한 경우는 극소수에 불과하다. 또, 전국구 프랜차이즈 본사를 목적으로 브랜드 리뉴얼을 통해 수도권에서 시작을 하는 로컬프랜차이즈도 존재한다.

로컬프랜차이즈도 아이템에 대한 경쟁력 부분을 살펴보면 충분히 전국구 프랜차이즈가 될 수 있을 만한 본사들도 상당히 많고 수도권에서도 역으로 로컬프랜차이즈를 벤치마킹하기 위해 현장을 확인하는 등 과거와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는 로컬프랜차이즈도 있지만, 전국구 프랜차이즈로 활동을 하면 그다지 큰 성과를 내지 못하고, 지역에서 그럭저럭 인지도를 갖춘 로컬프랜차이즈로 머무르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로컬프랜차이즈가 전국구 프랜차이즈가 되기 어려운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이중 몇 가지를 꼽으라고 하면 우선 마케팅 비용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볼 수 있다. 전국구 프랜차이즈 본사의 경우 사업 초기 임에도 불구하고 마케팅 채널의 활용 폭이 상당히 넓으며, 비용의 책정 수준 역시 로컬프랜차이즈에 비해 상당히 높게 책정되어 움직이지만, 로컬프랜차이즈는 비교적 적은 비용으로 가맹점을 모집하는 로컬마케팅에 익숙하기 때문에, 마케팅 비용에 대한 적극적인 투자에 소극적이고, 장기레이스를 꺼려하는 경향이 있다.

다음으로 체계화된 수도권 공략 전략의 부재이다. 전국구 프랜차이즈들은 브랜드를 런칭하는 시점부터 전국을 목표로 수도권을 중심으로 하여 전국을 대상으로 적극적인 홍보마케팅 전략을 수행해 나가지만, 로컬프랜차이즈의 경우에는 초반에는 해당 지역에만 집중하는 소극적인 마케팅 전략을 진행해 나가고, 해당 지역에서 유사 브랜드가 생겨나고 어느 정도 포화 시점에 이르렀을 때 비로써 수도권으로 눈을 돌리는 경우가 왕왕 있다. 그 정도 시점에서는 이미 수도권에서도 상당히 많은 경쟁 브랜드들이 장악하고 있는 상황이 펼쳐진다.

마지막으로, 로컬프랜차이즈 본사 대표의 마인드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로컬프랜차이즈가 탄생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상당수는 매장 하나에서 성공한 대표들이 지역에서 가맹점을 요청하는 예비창업자를 대상으로 가맹점을 하나 둘씩 내어 주다가 프랜차이즈로 전환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장기적인 계획을 가지고 움직이기 보다는 단기적인 계획으로 운영하는 형태가 많기 때문에 다양한 변수에 대해 능동적인 대처 능력이 부족할 수 있다.

로컬프랜차이즈가 전국구 프랜차이즈 거듭나기 위해서는 지역에서 충분한 경쟁력을 보이고 있는 시점에서 어느 정도 자금력이 있다면, 보다 빠른 수도권 공략이 필요하며, 가맹점 개설을 기다리기 보다는 철저한 조사를 통해 수도권에 거점을 만들고 직영점을 개설하여 가맹점 모집을 본격화 하여 사업전개를 실시하는 것이 전국구 프랜차이즈로 성장할 가능성을 높여줄 것이다.

소상공인창업전략연구소 대표이사 조계범

 

저작권자 © 한국시민기자협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