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수소방서 방호구조과 김동명

  “여보, 여보! 불이 났는데 문이 안 열려요. 숨을 못 쉬겠어요. 살려주세요” “어무이, 지하철에 불이 나 난리라예. 못 나갈 거 같아예. 저 죽지 싶어예.” “엄마 오늘 아침에 싸운거 미안해 그리고 사랑해”

지금으로부터 14년 전인 2003년 2월 18일 대구지하철을 이용하던 192명의 사람들의 시간들은 중앙로역에서 멈췄다.


한 지적장애 2급 판정을 받은 방화범의 한 순간의 행동으로 2개 편성 12량의 전동차가 모두 불타고 뼈대만 남았으며 192명의 사망자와 21명의 실종자 그리고 151명의 부상자라는, 대구 상인동 가스 폭발 사고와 삼풍백화점 붕괴 사고 이후 최대 규모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신속한 상황대처 매뉴얼과 해당 안전책임자의 기본에 충실한 임무수행이 있었더라면 이렇게 큰 사고까지는 발생하지 않았을 것이다. 그럼 13년전의 우리의 과오를 살펴보고 지금까지 달려 온 소방의 현재 상태를 알아보자.


 낙후된 소방 기술 초기 신고자로부터 현장상황에 대한 정보파악 시도가 전혀 없이 무작정 현장으로 출동했다. 절박한 신고자에게 '출동했다.','예, 갑니다.'라는 말만 되풀이 했다. 또한 지하철 화재진압 기술 및 대비가 거의 없는 형편이었으며  분진 마스크, 방독면, 산소통, 방열 소방복, 연기 강제배출 장비 등이 절대 부족하여 사고 발생 후 3시간 이상이나 구조대 현장진입 불가능 상태였다. 소방차 84대, 소방관, 경찰 등 3200명이 출동했지만 실속 있는 조치는 전무했다.


 사고 관리 시스템 부재 사고발생의 원인을 구조적 문제와 같은 근본 원인보다는 하위직의 개인 실수에서 찾아 처벌하려고 했다. 또한 사망자, 실종자 파악, 현장수습, 유가족 대책수립 행정처리 절차가 미흡하였다. 결정적으로 현장 보존에 실패하였다. 소방관의 진화, 구조 활동에 의한 훼손, 취재 기자들에 의한 훼손방치, 고위 정치인의 이튿날 현장방문에 대비한 현장 훼손, 뚫린 창문에 대한 응급조치도 없이 소실된 전철 차량의 이동 등 사고 관리에 있어서 많은 문제점들이 있었다.


 부실한 사회 안전망과 대중교통수단인 전철의 객차가 화재에 매우 취약한 가연성 재질로 구성되었다는 점이 문제였다. 특히 시트가 빠른 속도로 불에 타면서 치명적인 유독가스를 발생시켰다. 당시 열차 차량에 대한 소방안전대책은 전무한 실정이었다. 고작 소화기 비치가 전부였고 객차의 경우 건축법, 소방법 및 전기사업법의 적용을 받지 않고 있었다.

그럼 그 후 우리는 그동안 어떻게 변해왔을까?
 첫째 소방방재청의 설립이다. 2003년 2월 18일 발생한 대구지하철 방화사건을 계기로 정부조직법은 또 한 번의 개정이 이뤄지게 되었다. 2004년 6월 1일 소방방재청(현재 국민안전처)이 설립되면서 행정자치부 외청으로 독립, 화재와 민방위 업무를 비롯한 재난의 예방과 대비, 대응, 복구의 중심 역할과 기능을 수행하게 되었고 소방방재청을 중심으로 하여 소방에 발전과 더불어 좀 더 나은 전문성과 서비스를 구축하면서 그때보다 더 나은 소방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둘째 1개로 이루어진 소방법이 4개분법으로 나눠지면서 좀 더 정확하고 체계적인 시스템 구축에 기반을 다지게 되었다.
 셋째 사고 이후 정부는 전국 대도시의 각 지하철 운영 주체 및 광역 철도 운영 주체인 철도청(현재 코레일)에 2006년까지 전 차량에 대한 내장재 교체를 완료하여 지금은 전 차량 좌석, 벽 내부 단열재 등이 불연내장재로 사용되고 있다.

  대구지하철 화재가 발생한 이후에도 세월호 사건과 판교공연장 환풍구 붕괴사고 등 여러 안전 불감증으로 인한 사고가 많이 발생되었다. 앞으로 대형사고가 발생하지 않을꺼라는 것은 장담하지 못한다. 하지만 과거를 기억하지 못하는 이에게는 미래가 없듯 우리는 과거를 단순히 기억 하고만 있는게 아니라 그날을 기억하고 재구성하여 반성하고 그리고 문제점을 보완하여 더 나은 미래로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열악한 환경에서 근무하면서 지금의 소방을 이루어 낸 선배소방관들의 노력과 땀을 잊어서는 안 될 것이다.

[한국시민기자협회 뉴스포털1 ]

저작권자 © 한국시민기자협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