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의 수레바퀴가 대중을 싣고 달리며 근간 유난히 삐걱거립니다

▲ 이보라 소설가
[온 국민이 기자인 한국시민기자협회 정덕구 기자회원 ] 역사의 수레바퀴가 대중을 싣고 달리며 근간 유난히 삐걱거립니다. 배를 타기 무섭고 지하철도 타기 겁나는 세상을 살아내며, 우리는 몸과 더불어 마음 실을 곳을 찾지 못해 방황하고 있습니다.

사고(事故)에 반드시 원인이 있듯 마음이 이렇게 고통스러운 원인이 무엇일까, 조용히 생각해보아야 할 때입니다. 이런 와중에도 내 자리에서의 책임을 망각한 채, 네 책임에 대해서만 목소리를 높이며 따지는 사람들을 종종 봅니다.

그런 사람들은 대부분 내 자리가 어디쯤인지 인식하지도 못한 채 전력질주에만 힘써온 자들입니다. 오직 잘 살기 위한 삶을 모색할 뿐 한 번이라도 잘 죽기 위한 삶은 모색할 줄 모르는 어리석은 사람들일 것만 같습니다.

그 어리석음이 지금 서로가 서로에게로 깊은 상처를 내고 있는 형국이라는 것도 모른 채, 잘났지만 무지한 목소리들은 사회를 더 혼란스럽고 슬프게 합니다.

순식간에 억장 무너지듯 사랑하는 사람들을 잃어버리고 나서야, 우리는 이제 무엇이든 좀 깨닫고 싶어집니다. 누구든 깨달아야 변할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있기 때문입니다. 불교에서 부처(Buddha)는 깨달은 사람을 뜻합니다.

석가모니 부처님은 사람이면 누구나 부처가 될 수 있는 소질과 성품이 있다고 말씀하셨지만, 중생이 부처가 된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닙니다. 그러나 생각과 말과 행동에서부터 고통을 각오한 노력으로 부처님의 깨달음에 다가갈 수는 있을 것입니다.

한국불교는 종교를 뛰어넘어 우리사회 구성원들에게 절실한 사상체계의 역할을 해 왔습니다. 부처님은 누구 하나 귀하지 않은 존재가 없다는 말씀으로 중생과 더불어 살아오셨기에, 세상이 어렵고 힘들수록 우리로 하여금 지혜를 구하고 자비를 베풀 수 있게 해 왔습니다. 이처럼 아름다운 것은 관심을 바라지 않지만 지속적으로 우리를 일깨웁니다.

이제 다시 태어나야만 하는 우리 사회를 위해 부처님의 가르침이 새로운 사상체계의 토대가 되길 열망합니다. 마침내 깨달음을 얻은 부처님은 그것을 혼자 누리지 않았습니다. 더 많은 사람들의 이익과 안락을 위해 기꺼이 보리수나무 아래에서 일어났습니다.

그때 녹야원에서 구르기 시작한 진리의 수레바퀴가 세상 구석구석에 튼실한 자취를 남기며 굴렀으면 좋겠습니다. 오늘도 역사의 수레바퀴는 대중을 싣고 삐걱삐걱 앓는 소리를 내면서 위태롭게 굴러가고 있기 때문입니다.  [불교신문3019호/2014년6월21일자]
저작권자 © 한국시민기자협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