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광역시 전경(시청자료집 발췌)
이정기 광주매일 시민기자
호남지방은 한반도의 서남부에 위치하여 온화한 기후와 기름진 평야를 두루 갖춘 천혜의 고장이며, 그 중심 도시인 광주는 일찍부터 정치·문화·경제의 중추적 역할을 수행했다. 선사시대에 이미 선진문화를 누렸음은 신창동유적을 통해 살필 수 있으며, 마한이나 백제시대에도 상당한 역할을 수행했다.

신라의 삼국통일 이후에는 전남지방에 무주가 설치되어 그 중심지가 되었으며, 후삼국시대에는 견훤이 이곳을 기반으로 후백제의 왕이 되기도 했다. 통일신라와 고려시기에는 중앙귀족 중심의 사회로 되면서, 이 지방이 소외되었다. 고려말 조선초의 전환기에는 고려에 절의를 지키고 신왕조의 개창에 반대한 충신들이 이곳을 찾아 은거하기에 이르렀다.

바르게 살고 나라와 민족을 사랑하는 생각은, 인간이 본래부터 가지고 있는 마음의 뿌리요 행동의 바탕이다. 사람은 이성적 동물이다. 선과 악을 구별할 줄 알며, 슬기롭게 행동하고 떳떳한 삶을 영위함으로써, 자신의 인생을 보람있게 꾸미고 싶어한다. 이러한 본래의 착한 마음이 세속과 물질에 유혹되어, 혼탁하고 탐욕스럽게 되어 자신을 타락시키고 파멸시키게 되는 것이다. 특히 정치권력은 모든 것을 좌우하는 마력을 지니고 있어, 기득권자들이 자행한 독선과 파행으로 우리 역사가 그르쳐졌을 뿐 아니라 수많은 희생을 치르지 않을 수 없게 되었던 것이다. 천혜의 환경에 따른 넉넉한 마음과 사람을 좋아하고 사랑하는 정신으로 개방적이며 자상한 성격으로 의리를 소중하게 생각하는 이 지방 사람들은, 정치적 주변부에 있으면서도 불우하고 올곧게 살려는 사람들을 따뜻하게 받아주어 그들의 안식처가 되었다.

고려말에 명분과 의리를 중시하는 성리학이 전파되자, 신진사대부들은 그것을 그들의 사상적 기반으로 삼았다. 그리고는 몽고에 아부하여 권력과 농장을 독점했던 권문세족들을 공격하였다. 이어서 이성계가 위화도회군을 단행하여 조선왕조를 세우자, 사대부들은 이를 따르는 현실파와 고려왕조에 충성하고 절의를 지키려는 사람들로 나누어졌다. 정도전 . 조준 . 남은 . 권근 등은 조선왕조에 참여하여 부귀를 누리는 사람들이었고, 정몽주 . 이색 . 길재 . 이숭인과 두문동의 현인들은 충절을 생명보다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이성계가 조선왕조를 창건하자 충절을 지키려는 사람들은 두문동에 은거하였다. 그런데 이곳마저 불을 질러 못살게 하자, 이들은 다시 전국으로 흩어져 갔다. 이들 중 일부가 광주지방에 내려와 정착하였는데, 광주의 범세동과 탁광무 . 담양의 전신민 . 영암의 김자진 . 순천의 조유 등이 바로 그들이었다. 이들은 왕권을 안정시킨 이성계나 태종의 부름을 받았으나, 벼슬길에 나가지 않고 높은 절개와 덕망을 소중하게 지키면서 제자들을 길렀다. 한편 태종의 정변과 세조의 찬탈 그리고 연산군의 폭정과 그 뒤를 이은 사화(士禍)에서, 언제나 바른 편에 서고 비판적인 언론을 편 사람들과 그러한 세상을 혐오한 사람들 가운데 일부가, 정치의 주변부인 광주지방으로 낙향 은거했다. 이러한 현상은 당쟁의 시기에도 계속되어, 광주지역은 유배지나 은거지로서 항상 많은 피해자와 은거자들이 선택하는 곳이었다. 그리하여 광주를 비롯한 이 고장에는 정의가 넘쳐흐르게 되었으며, 그것은 광주지역 사람들을 지배하는 정서가 되었다.

이러한 지역 정서가 있었기에 나라와 민족이 어려움에 처할 때면, 이 고장 사람들은 분연히 떨쳐 일어나 구국의 대열에 앞장섰다. 그리하여 왜란에서 빈사상태에 빠진 이 나라를 구출했으며, 호란 때에도 근왕의병에 앞장서서 참여했다. 봉건세력의 착취로 농민대중이 피폐하여 몰락하게 되자, 1862(壬戌)년에는 전국적으로 70여 개 지방에서 농민들의 항쟁이 일어났다. 당시 전라도에서는 38개 지역이, 그 중 전남에서는 18개 지역이, 각각 농민항쟁의 대열에 참여하여 부조리로 가득찬 못된 세상을 타도하려 했다. 그리고 그 후 1894년에는 다시 동학농민혁명을 전개함으로써, 반외세의 자주독립과 반봉건의 근대화를 쟁취하는 데 앞장선 주인공이 되기도 하였다. 나아가 동학농민혁명을 무력으로 억누른 일본침략자들이 이 나라를 병합하려 하자, 최후까지 의병항쟁을 전개한 애국자들도 바로 광주를 비롯한 전남지역 사람들이었다.

아울러 국권을 빼앗고 민족을 노예 상태로 빠뜨린 일본침략자들의 탄압과 수탈에 대항하여 앞장서 싸우는 일에서도, 광주를 비롯한 호남인들이 빠질 수가 없었을 것임은 물론이다. 또한 이들은 3·1운동에도 적극 참여하였지만, 1929년의 광주학생독립운동 때에는 주민 모두가 하나가 되어 일제에 적극적으로 항거하였다. 뿐만 아니라 농민운동의 일환인 소작쟁의가 가장 활발하게 전개된 곳도 바로 이곳이었으며, 노동쟁의나 사회운동 및 국내외의 독립투쟁에 광주를 비롯한 전남인들이 항상 앞장서 있었다.

한편 해방과 함께 강요된 분단과 독재정권에 대항하여 가장 강력한 투쟁을 전개한 것도 호남인이었다. 정의의 편에서 나라와 민족을 지켜 오늘에 이르게 한 것이, 광주를 중심으로 한 호남인들이었다고 하여 과언이 아닌 실정인 것이다. 이것들이 일시적이요 우발적인 것이 아니라, 호남 전통의 의향(義鄕)정신의 계승이요 발전이라고 하는 것은, 이상의 역사가 보여주고도 남음이 있다 할 것이다.

수천년 동안의 전근대 사회는 왕과 그 밑에 기생하는 위정자를 비롯한 관료들의 세상이었다. 그들은 기득권 세력으로 군림하면서, 민중을 탄압하고 수탈하여 나라와 역사를 못되게 만들었던 것이다. 민중이 주체가 되어 역사를 발전시키면서, 안으로는 그들을 짓누르고 착취하는 봉건세력을 타도하고, 밖으로는 외세의 정치적·경제적 침략을 분쇄함으로써, 민주세상과 자주독립국가를 만들어 가는 시대가 근·현대인 것이다.

우리나라의 역사도 그러한 면에서는 세계사와 궤를 같이하여 왔다. 탄압과 수탈을 일삼아오던 지배층을 타도하여 민주세상 . 대동세상을 만들고, 우리나라를 침범하는 외세를 물리쳐 자주독립을 이루고자, 근대사의 몸부림이 처절하게 전개되었던 것이다. 1894년의 동학농민혁명은 바로 우리나라에서의 그와 같은 근대사의 서막이었다. 이때 광주를 비롯한 호남인들은 반봉건의 근대화와 반외세의 자주독립을 쟁취하기 위해서 일어섰으며, 여기에 수백만이 가담하여 근 일년에 걸쳐 혁명이 진행되는 동안 수십만이 희생되었다. 동학농민혁명의 발상지이자 주도세력의 근거지로서 최후의 항전지역이었던 광주지방은, 일본침략자와 이에 동조한 관군들 그리고 발악하는 기득권 세력에 의해서 철저하게 살상당하고 수탈되었던 비극의 현장이었다. 그러나 광주지방 사람들은 이에 좌절하지 않았다.

일본침략자들이 이 나라를 빼앗으려 하자, 재차 한말의병의 중심으로서 최후까지 항쟁하였다. 그리하여 그들에게 상당한 타격을 주었지만, 그 보복으로 엄청난 살상과 재산의 약탈을 당할 수밖에 없었다. 일본침략자들은 남한대토벌작전이라는 전남의병 소탕전을 전개하여, 이 지역 의병의 씨를 없앤 후에야 나라를 빼앗을 수 있었다.

이후 일제강점 36년 동안에도 제국주의의 탄압과 수탈에 정면으로 도전하면서 역사를 발전시켰으며, 농민운동의 본고장이자 노동운동과 사회운동의 온상으로서 한국의 근대화에 첨병노릇을 감당했다. 수천년 동안 지탱해 온 기득권 체제는 한일합방으로도 깨지지 않았다. 기득권 세력은 일제침략자들의 앞잡이가 되어, 자신들의 지위를 더욱 공고히 하였다. 따라서 이의 타도를 위한 독립투쟁은 곧바로 근대화 운동으로 연결되었다. 일제 36년이 연합국의 승리로 종지부를 찍었지만, 이 나라에서 민주주의와 자주독립은 요원하기만 한 과제였다. 한반도가 미·소간 냉전체제의 각축장이 되었으며, 군정을 거쳐 등장한 남북정권들의 독재체제 때문이었다.

그러므로 반봉건의 민주화 투쟁과 반외세의 자주독립을 지향하는 근대화 운동은 계속되었으며, 그러한 싸움에는 언제나 근대화의 기수였던 광주를 비롯한 호남인들이 앞장섰다. 특히 1980년의 광주민중항쟁은 4·19 혁명을 통해 쟁취된 민주주의를 압살한 군부독재에 정면으로 항거한 것이었으며, 인간의 존엄성을 확인시켜 이 나라의 역사발전에 큰 공헌을 하였다. 4·19 혁명으로 씨뿌려진 민주권력은, 권력에 굶주린 정치군인들의 5·16 군사쿠데타로 전복되었다. 그들은 망국적인 지역감정까지 자극하면서 독재체제를 강화했고, 남북분단을 고착화시켜 독재정권을 연장하는 일에만 혈안이 되었다.

박정희 군사정권은 날로 이반하는 민심을 철권으로 봉쇄하기 위해 유신독재를 자행했으며, 독점재벌과 야합하고 언론들의 보호를 받으면서 민중들을 탄압하고 지역차별을 강화시켜 나갔다. 1979년 10·26으로 그 지도자 박정희가 피살되자, 그들의 보호와 특혜를 받아오던 전두환 . 노태우 등 신군부는 12·12군사 반란을 일으켰고, 5·17 계엄확대를 통해 군사정권을 연장시키려 했다. 이에 정면으로 맞서서 민주주의와 정의를 지키려 했던 사람들이 바로 광주를 비롯한 전남인이었으며, 이때의 5·18정신은 1987년 6월항쟁으로 계승되어 군사정권에 치명타를 가하였다. 그러므로 1894년의 동학농민혁명에서부터 1980년 광주민주화운동까지의 근대화 과정은, 광주를 비롯한 전남이 그 중심무대였고 이 고장 사람들은 언제나 그 주역이었다
 

저작권자 © 한국시민기자협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